안녕하세요. 일주일 만이네요. 그동안 학원도 다시 나가게 됐고 알바도 시작하다 보니 무려 일주일 만에 글을 다시 쓰게 되었습니다.(사실 시간이 없다는 건 핑계고.. 귀찮았기 때문이죠)
지난번에 설명드렸던 2:1, 4:2, 6:3 옥타브 기억하시나요?
이번 글에서는 이 옥타브들의 차이를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바로 테스트 노트(test note)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테스트 노트는 말 그대로 옥타브를 테스트할 수 있는 노트입니다.
사실 이미 각 옥타브를 조율하면서 테스트 노트를 써먹었습니다.
예를 들면, A3-A4 옥타브를 4:2로 조율할 때 F3-A3과 F3-A4의 맥놀이를 비교했던 걸 아실겁니다.
여기서 F3을 테스트 노트라고 합니다.
<테스트 방법>
각 옥타브를 테스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1옥타브 : A3의 10도 아래음인 동시에 A4의 17도 아래음인 F2를 테스트 노트로 사용한다.
2) 4:2옥타브 : A3의 (장) 3도 아래음인 동시에 A4의 10도 아래음인 F3를 테스트 노트로 사용한다.
3) 6:3옥타브 : A3의 (단) 3도 윗음인 동시에 A4의 (장) 6도 아래음인 C4를 테스트 노트로 사용한다.
각 옥타브 타입에 주어진 테스트 노트를 각각 옥타브의 아래음(bottom note, 예시에서 A3)과 옥타브의 윗음(top note, 예시에서 A4)과 함께 눌렀을 때 맥놀이가 같으면 되는 것이죠.
이러한 테스트를 Equal Beating Techniques라고 합니다.
<테스트 노트를 정하는 근거>
테스트 노트는 각 옥타브의 공통 배음(coincident partial)에 의해 정해집니다.
각 옥타브의 이름이 각 옥타브의 공통 배음에 의해 정해졌는데요, 각 옥타브의 공통 배음이 테스트 노트의 제 5배음이 되도록 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2:1 옥타브의 경우 A3의 제 2배음과 A4의 제 1배음이 같죠(A4). 여기에 테스트 노트(F2)의 제 5배음 또한 A4로 같습니다.
4:2 옥타브에서는 F3의 제 5배음이 A5로서, 역시 일치합니다.
6:3 옥타브의 경우 F음이 아닌 C음을 사용한다는 것이 앞서 설명한 옥타브와 다르지만, 원리는 같습니다.
A3의 제 6배음, A4의 제 3배음, C4의 제 5배음이 모두 E6입니다.
'왜 하필 제 5배음으로 정한 것인가'에 대한 물음에는 특별히 답이 없습니다. 단지 테스트 노트로 사용했을 때 맥놀이를 듣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