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11번부터 가봅시다.
11. 옥타브와 동음을 제외한 조율에 사용되는 음정 검사 중 저음부에 사용되지 않는 음정 검사 방법은?
가. 장 7도 검사 나. 장 10도 검사
다. 단 7도 검사 라. 장 18도 검사
(답안 및 근거)
답은 (가)이다.
저음부(대략 E32부터 A1까지) 옥타브를 조율할 때는 장 3도 검사를 하게 된다. 저음으로 갈수록 일정한 감소 비율로 맥놀이가 감소해야 한다. 하지만 음이 낮아질수록 장 3도 맥놀이를 듣기가 힘들어지는데,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장 10도, 장 18도 검사이다. 장 10도, 장 18도는 각각 장 3도+1옥타브, 장 3도+2옥타브인데 이렇게 했을 경우 저음부에서도 맥놀이를 듣기가 수월해진다. 다만 장 10도, 장 18도 검사의 경우 옥타브에서 발생하는 오차 때문에 정확도는 조금 떨어질 수 있다.
장 3도 맥놀이를 듣기 어려워지는 지점부터 단 7도 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역시 저음으로 갈수록 맥놀이가 적어져야 한다. 또한 단 7도 맥놀이가 듣기가 힘든 경우 단 15도(단 7도+1옥타브), 단 23도(단 7도+2옥타브) 맥놀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12. 기음이 200Hz일 경우, 세번째 옥타브는 몇 Hz가 되는가?
가. 400Hz 나. 1600Hz
다. 800Hz 라. 3200Hz
(답안 및 근거)
세번째 옥타브는 제 8배음이므로 답은 (나)이다.
13. 1:2, 5:6, 8:15의 진동수비가 맞는 것은?
가. 1:2 - 4도, 5:6 - 옥타브, 8:15 - 단 3도
나. 1:2 - 8도, 5:6 - 장 3도, 8:15 - 옥타브
다. 1:2 - 장 3도, 5:6 - 단 3도, 8:15 - 장 3도
라. 1:2 - 옥타브, 5:6 - 단 3도, 8:15 - 장 7도
(답안 및 근거)
답은 (라)이다. 기음과 자연배음의 관계도를 제 16배음까지 외워야 하고 진동수 비율에 따른 음정의 관계 역시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이다.
14. 완전 5도에서 201c/s와 300c/s에서 들려오는 맥놀이 수는 몇 개 인가?
가. 1 b/s 나. 2 b/s
다. 3 b/s 라. 들을 수 없다.
(답안 및 근거)
c/s는 cycle per second로서, Hz와 동일한 단위이다.
맥놀이 계산은 두 음의 진동수의 배음을 이용한다.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201 * 3 = 603
300 * 2 = 600
=> 603 - 600 = 3
따라서 답은 (다)이다.
15. 평균율 A37 음이 200Hz일 때, 단 3도 위의 C40 음과의 맥놀이는 매 초당 몇 회인가?
가. 약 5.9 나. 약 8.7 다. 약 11.9 라. 약 13.2
(답안 및 근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균율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평균율에서 반음의 간격은 모두 같으며 그 차이는 12√2이다. 이제부터는 공학용 계산기가 필요한 부분인데, 단 3도는 3개의 반음을 지나오므로 평균율에서 C40 음의 진동수는 220 * (12√2)3 = 261.63(Hz)가 된다.
이제 맥놀이를 구해보자. 위의 14번 문제처럼 각 주파수를 2배, 3배 증가시키면서 두 주파수가 비슷해질 때 값의 차이를 구하면 된다.
220Hz는 암산으로 구할 수 있다. 440, 660, 880, 1100, 1320,...
C40의 주파수에서 곱셈을 해보자.
261.63 * 2 = 523.26
261.63 * 3 = 784.89
261.63 * 4 = 1046.52
261.63 * 5 = 1308.15
220 * 6 = 1320
261.63 * 5 = 1308.15
따라서 두 음 사이의 맥놀이는 1320 - 1308.15 = 11.85 ≒ 11.9
답은 (다)이다.
16.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표준음고는 필하모닉 피치 440A이다. 그러면, 이때의 측정 온도는 몇 ℃인가?
가. 16℃ 나. 18℃ 다. 20℃ 라. 22℃
(답안 및 근거)
필하모닉 피치(Philharmonic Pitch)는 A=440Hz를 말하며, 측정 온도는 20℃이다.
17. 피아노 조율에서 레스트(rest)란 무엇인가?
가. 튜닝핀을 무리 없이 돌리는 작업
나. 보족 음정을 이용해서 검사하는 방법
다. 테스트 블로우(test blow) 보다 약하게 치는 검사 방법
라. 견고한 조율을 위해 팔꿈치를 피아노에 고정시키는 방법
(답안 및 근거)
레스트(rest)란 견고한 조율을 위해 팔꿈치를 피아노에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답은 (라)이다.
rest에 '기대다'라는 뜻이 있는데 거기서 유래한 것이 아닐까 싶다.
18. 장 3도, 장 6도, 완전 4도, 완전 5도 등은 조금씩 어긋나고 옥타브 동음만이 완전히 맞으며, 12 음의 간격이 일정하고 흑건 1개로 #과 ♭을 모두 겸할 수 있는 조율법은?
가. 순정률 나. 12 평균율
다. 피타고라스 음률 라. 중간 가감률
(답안 및 근거)
문제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평균율이다. 답은 (나)이다.
19. 순정률에서 큰 온음과 작은 온음의 차이는 얼마인가?
가. 81/80 나. 10/9
다. 16/15 라. 256/243
(답안 및 근거)
장 2도 큰 온음일 때 진동수 비는 8:9이며, 작은 온음일 때 진동수 비는 9:10이다.
따라서 큰 온음과 작은 온음의 차이는 9/10 ÷ 8/9 = 81/80이다.
또한 이를 디뒤머스 콤마라고 부른다.
답은 (가).
20. 장 3도의 보족 음정에 해당되는 것은?
가. 단 3도 나. 단 6도 다. 장 6도 라. 장 7도
(답안 및 근거)
보족 음정이란 두 음정을 합하였을 때 옥타브가 되는 것을 말한다.
장 3도의 보족 음정은 단 6도이므로 답은 (나)이다.
참고로 보족 음정 관계에 있는 대표적인 음정들은 완전 4도와 완전 5도, 장 3도와 단 6도, 단 3도와 장 6도 등이 있다.
하다 보니 하루에 20문제를 끝냈다. 중간중간 귀찮아서 설명 대충 쓴 것도 있긴 한데, 그래도 한 게 어디냐.
내일은 못 할 것 같구, 주말에 20문제씩 해서 2017년 문제를 끝내야겠다.
최근댓글